본문 바로가기
건강

간헐적 단식을 절대 피해야 할 사람들

by lily1527 2025. 5. 17.
반응형

간헐적 단식(Intermittent Fasting, IF)은 최근 몇 년 사이 체중 감량과 대사 건강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널리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루 16시간 공복 후 8시간 동안 식사하는 16:8 방식이나, 주 2회 500~600kcal 정도로 섭취량을 제한하는 5:2 방식 등이 대표적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인슐린 민감도 개선, 체중 감소, 염증 감소, 자가포식(autophagy) 유도 등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간헐적 단식은 모든 사람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특정 질환을 앓고 있거나 생리적 특수 상황에 있는 사람들은 간헐적 단식을 시작할 경우 오히려 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1.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

이 시기의 여성은 본인과 태아(또는 영아)의 건강을 위해 하루 평균보다 더 많은 열량과 영양소가 필요합니다. 간헐적 단식은 필수 영양소의 섭취 기회를 제한하며, 저혈당, 영양 결핍, 심지어 태아의 성장 지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성장기 아동과 청소년

청소년기는 키 성장, 근육 발달, 호르몬 변화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이때 충분한 열량과 단백질이 공급되지 않으면 성장 지연이나 영양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저체중이거나 섭식장애 병력이 있는 사람

BMI가 낮거나 섭식장애 병력이 있는 경우, 간헐적 단식은 신체와 정신 건강을 모두 해칠 수 있습니다. 폭식-단식 사이클이 강화될 수 있으며, 전해질 불균형과 대사 이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당뇨병 환자 및 특정 약물 복용자

특히 인슐린이나 설폰요소제 복용자는 공복 시 심각한 저혈당 위험이 있습니다. 일부 약물은 식사 시간과 맞춰 복용해야 하므로 단식은 약효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5. 노약자 및 근감소 위험군

65세 이상에서 근력이 약한 경우, 단식으로 인해 근육량이 감소할 위험이 높습니다. 이는 낙상과 일상생활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6. 중증 만성질환자 또는 회복기 환자

간, 신장 기능이 저하되었거나 심장·뇌혈관 질환 후 회복 중인 사람은 충분한 영양 공급이 필수입니다. 단식은 회복을 방해하고 합병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결론

간헐적 단식은 일부에게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모두에게 적합한 방식은 아닙니다. 자신의 건강 상태를 먼저 고려하고, 필요 시 전문가와 상담 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